
통합교육의 목적은 일반 교육과정 안에서 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상호작용과 서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므로써, 장애학생의 낙인효과를 감소시키고, 학업성장, 사회성과 정서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가져오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학생에 대한 태도 척도의 5개 영역 즉, 「통합교육에 대한 기본태도」, 「정신지체학생에 대한 인식」, 「통합교육의 장점」, 「통합교육의 단점」, 「통합교육에 있어 필요한 설비 및 시스템」과 접촉경험의 유무 등의 요인을 중심으로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를 검토하였다. 이 척도의 Cronbach α계수는 0.8833이상이었다.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정신지체학생에 대한 통합교육의 태도는「통합교육에 대한 기본태도」의 영역에서 33.0%, 「정신지체학생에 대한 인식」의 영역에서 24.6%, 「통합교육의 장점」의 영역에서 34.0%, 「통합교육의 단점」의 영역에서 27.1%, 「통합교육에 있어 필요한 설비 및 시스템」의 영역에서 48.5%가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즉,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정신지체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는 전 영역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정신지체학생에 대한 인식」의 영역에서 긍정도가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Ⅰ. 문제의 소재 및 과제
Ⅱ. 연구방법
Ⅲ. 조사 결과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