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자아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 김지현 김충식
- 21세기사회복지학회
- 21세기사회복지연구
- 제2권 제1호
- 2005.01
- 109 - 134 (26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대상관계 이론에 기초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 나아가 청소년들의 부적응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효율적인 프로그램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에 학교부적응 청소년이 늘어나고 학생범죄가 증가함에 따라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청소년 문제에 대한 대책과 예방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은 역기능적인 부모-자녀관계를 가지며, 분리-개별화되지 않는 성격특성을 소유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S중학교에서 의뢰된 학교 부적응 청소년 여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집단상담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효과분석을 위해 비행행동, 미래인식, 자아존중감, 분리-개별화척도를 사전과 사후로 검사하여 사후의 증가점수의 유의도를 t-test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평가지를 사후에 검사하여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각각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미래인식지수에서는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분리-개별화와 비행행동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내지 못하였으나 그 점수가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또한 프로그램평가에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고, 사례분석에서도 긍정적인 진전과 그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2분리-개별화기에 있는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에게 자아존중감을 높여주고, 미래에 대한 인식을 심어 주며, 또한 비행행동에 대한 인식과 분리-개별화에 대해 지각하게 함으로써 긍정적인 자아상의 확립과 주체성을 확립시키는데 바람직한 영향을 미친 결과라 할 수 있다.
Ⅰ. 서 론
Ⅱ. 대상관계이론(Object Relations Theory)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