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논문은 부모의 양육태도가 조직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해 보고자 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공직자들이 지각하고 있는 아동기 때의 부모의 양육태도가, 개인적 특성과 조직내 인간관계 전개방식에 있어서 어떻게 발현되는가를 살펴보고, 또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가설을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통계적방법을 사용하였다. 본청과 구청에 근무하는 안산시 공무원을 대상으로 공직자44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개인적 특성간의 관계는,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을 애정적 태도, 적대적 태도,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의 네 가지 양육태도로 분류하고, 이들 유형이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를 받은 집단들은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적대적 태도와 통제적 태도는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 양육태도와 조직내 인간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를 받은 집단들은 조직내 인간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적대적태도와 통계적 태도는 조직내 인간관계가 낮게 나타났다.셋째, 개인적 특성이 조직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이 높으면 직무만족이 높았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낮으면 직무만족이 낮았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놓으면 조직몰입도 높게 나타났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낮으면 조직몰입은 낮게 나타났다. 넷째, 조직내 인간관계가 조직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상사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하와의 관계가 좋으면 직무만족이 높았고, 상사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하와의 관계가 약하면 직무만족이 낮았다. 또한 상사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하와의 관계가 좋으면 조직몰입도 높게 나타났고 상사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하와의 관계가 약하면 조직몰입은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양육태도가 조직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
Ⅰ. 서 론
Ⅱ. 부모양육태도와 조직행태의 관한 이론적 배경
Ⅲ. 부모양육태도와 조직행태와의 관계
Ⅳ. 부모양육태도와 조직행태와의 관계에 대한 검증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