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연구는 오는 2008년 7월 시행될 예정으로 있는 노인수발보험법이라는 새로운 사회보험의 출발을 앞둔 상태에서, 급격한 환경변화를 겪을 수밖에 없는 우리나라의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시설의 복지성과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노인요양시설이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조직의 최종목표인 복지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조직 관리로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경영기법의 하나인 TQM(총체적 품질관리)의 요소들이 노인요양시설의 복지성과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노인요양시설에 적합한 TQM의 구성요소들을 추출한 후 노인요양시설의 복지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 시설장과 직원이 인지한 TQM 수준은 시설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시설장과 직원이 인지한 TQM 수준의 평균차를 보면 전 영역에서 유료시설의 수준이 무료시설이나 실비시설의 수준 보다 높게 나타났다. 무료시설과 실비시설을 비교해 보면 시설장의 리더십 영역을 제외하고는 무료시설이 실비시설의 수준보다 더 높거나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의 유형에 따라 시설장과 직원이 인지한 복지성과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입소노인의 시설이용만족도와 직원의 근무만족도에서 시설의 유형에 따른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시장경쟁 체제에서 운영되고 운영비의 전부를 입소자의 이용료에 의존하는 유료노인요양시설에서는 TQM의 구성요소가 성과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 고 문 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