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이 생활하는데 필수적 요소인 소득이 일정치 않고 부족한 상태이며, 건강측면에서도 장애가 있는 사회복지 기관 이용자들의 스트레스를 사정하고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탐색 연구이다. 기존의 보건의료계나 심리학계 및 사회복지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스트레스 척도를 비교분석함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적합한 스트레스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총 131개의 학술논문을 분석한 결과 의료계의 경우 클라이언트가 가진 질병과 건강증진 행위에 대한 연구가 주종을 이루고 있었으며, 심리학계의 스트레스 척도 사용은 개인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에 비중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복지계의 경우 다른 학문분야와는 달리 클라이언트의 스트레스를 평정할 수 있는 척도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부재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개인의 정서적ㆍ신체적 요인 및 클라이언트가 속한 환경적 요인에서 비롯된 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는 사회복지계에 적합한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