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논문의 핵심 주제는 「청각장애인의 사회통합 요인에 관한 연구」로서 새로운 시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인들의 바람직한 사회통합에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 요인들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사회적 통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청각장애인의 사회통합 기회를 확대시킬 정책 제안과 프로그램 개발의 적절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의 만 18세부터 만 75세까지의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2006년 3월까지 3개월간 248 케이스를 조사하였는데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응답자 중 질환에 의한 청각장애 발생자가 63%였으며 28%만 구화교육을 받았고 83%가 수화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과반 수 이상의 응답자가 직업과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통합에 미치는 요인에는 일상생활의 능력정도와 직장생활의 만족도, 직업의 안정성이 강한 사회통합으로 이끄는 반면, 개인의 사적인 만족감에는 일상생활의 능력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환경적 특성인 가족과의 관계정도, 교우관계의 정도, 편의시설 이용의 용이성이 사회통합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청각장애인의 사회통합에는 단순히 보편적인 장애인 서비스나 지원만을 통해 달성될 수 없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긍정적인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교육기회와 취업기회의 확대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사회복지기관의 전략적 지원과 사후관리 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청각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과 의사소통 개선이 되어야 하며 지역사회의 참여가 강화되어야 한다. 나아가 여성청각 장애인을 위한 가정과 직장에서의 특별한 배려가 필요하다.
I.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II. 청각장애인의 이해
III. 연구의 분석틀 및 연구방법
IV.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