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현장실습 경험과 전공만족이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실습의 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실습 경험은 1회가 15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수퍼바이저 직위는 팀장이 가장 많이(35.3%) 행하고 있어 시설에서 현장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비전 교육주기는 대부분 매일 등의 규칙적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사회복지전공자의 현장실습 참여정도가 높았다. 둘째, 전공선택 시의 만족정도에 따라 현재 전공만족도 및 정체성에 집단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장실습 경험 횟수 및 실습 충실도는 집단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만족도, 실습기관 직원수, 전공선택 부모만족도, 실습기관 오리엔테이션 실시 시점, 학교 실습수업 만족도, 전공선택 본인만족도, 수퍼바이저 학력, 실습기관 선정시 의사반영, 실습기관 유형, 전공교과 수학 정도가 포함된 모형은 유의수준 .05에서 사회복지 전문직 정체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81.9% 가 모형에 포함된 독립변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요 약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