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1565.jpg
학술저널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긍정적 정신건강의 고찰

  • 455

본 연구는 정신건강을 위한 사회복지실천방안으로 긍정적 정신건강 이론중 Keyes의 정신건강 이요인 모델과 Seligman의 긍정심리상담을 살펴보고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을 촉구하기 위함이다. 급변하는 시대에 맞추어 한국의 사회복지실천에서도 진보를 요구하고 있다. 한국의 고도 산업성장은 경제적 안정 이면에 극도의 스트레스와 정신적 고갈상태를 초래하였으며, 행복지수 하위권에 자살률 1위라는 오명의 잔재를 남겼다. 그러므로 정신장애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스트레스 및 심리사회적 정신건강 문제 해결이 사회복지실천의 중요한 당면과제이다. 그러나 아직도 정신건강을 위한 사회복지현장에서는 질병모델을 근거로 한 제한적인 치료 및 예방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지는 긍정적 정신건강을 고찰함으로써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정신장애 치료와 예방 및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방안을 제시한다.

I. 서 론

Ⅱ. 긍정적 정신건강의 이론적 배경

Ⅲ.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