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1574.jpg
학술저널

「굿 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현대인의 스트레스 반응 변화에 대한 연구

  • 263

스트레스는 현대에서 큰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 최근에야 정신 적 스트레스의 위험성에 대해 인지하고, 그 치료법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사실 한국문화는 선사시대부터 무속을 통하여 가정이나 마을에서 액을 쫒아내고 보낸 종합예술치료인 ‘굿’을 통하여 효과적인 예술치료를 해오고 있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현대시대의 예술치료와 매우 흡사한 ‘굿’을 토대로 만든 ‘굿 치료 프로그 램’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굿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이를 위 하여 심도 깊게 내담자를 선별하여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질적인 연구방법과 내용분석, 뇌파검사를 통해 굿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스트레스 반응의 차이를 비교 하기 위해 ‘굿 치료 프로그램 전· 후 의 뇌파검사 중 항스트레스 지수 비교 및 내담자의 언어적, 음악적 반응의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굿 치료 프로그램이 스트레스에 노출된 내담자에게 어떠한 반응결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전후의 항스트레스 지수를 검사해 보았다. 치료 전에 좌뇌는 55.963점, 우뇌는 55.085점이고, 치료 후는 좌뇌는 67.914점, 우뇌는 71.364점으로 치 료 전보다 항스트레스 지수가 높아 진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치료 후 내적, 외적 환 경요인으로 인한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능력이 상승한 것을 뜻한다. 둘째, 내담자의 치료 전 후를 비교하기 위해 단계별 내용 분석을 통해 내담자가 경험 한 반응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내담자는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스트레스 원인을 인식하였고, 분노, 좌절, 우울 등 여러 가지의 감정을 경험하며, 자신의 스트레스 반응을 인식하였다. 프로그램의 중반부에는 치료사와의 상호작용, 회상을 통한 상호작용 이 활발히 일어나며 상대방을 지지, 인정하기 등의 반응이 나타났다. 후반부에서는 치료 사, 연주자들과 함께 즉흥연주와 노래를 하면서, 음악적 상호작용과 협동의 모습을 보 였고, 분노와 좌절등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시켰으며, 변화된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며 자 신감을 얻게 되었다. 연구에서 연구자는 굿 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음악치료가 스트레스에 노출된 이들에게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음으로써, 많은 이들이 좀 더 효과적인 음악 치료 프로그

서 론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결과 및 논의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