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상호 자율성 척도 (MOA)는 대상 관계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로샤 검사 상에서 MOA와 다른 척도를 사용하여 정신과 입원 환자들을 대상으로 대상 관계의 수준, 정신 병리의 심각성 및 대처 방략 간의 관계와 대상 표상의 발달적 수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경계선 성격 장애 환자 13명, 정신분열병 환자 14명, 주요 우울장애 14명, 총 41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경계선 성격 장애 환자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더 높은 MOA 척도 점수를 보였고, MOA 척도로 평가된 대상 관계 수준은 정신 병리의 심각성, 거리 두기 방어 기제, 분노의 강도 및 정서 통제의 어려움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MOA 척도가 정신 병리의 심각성을 평가할 뿐만 아니라 대상 관계의 수준을 유의미하게 평가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고, 낮은 대상 관계 수준이 경계선 성격 장애의 핵심 병리임을 시사해주었다.
1.Introduction
2.Methods
3.Results
4. Discussion
REFERENCE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