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1594.jpg
KCI등재 학술저널

자기보고식 평가 도구에서 나타나는 방어적인 응답경향: 예비 연구

  • 150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식 질문지에서의 방어적 응답경향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채용 장면에 서는 수검자의 방어적인 응답경향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의료 기관 직원 선발에 지원한 547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보고식 인적성 평가 척도(PAS-HE) 점수 중에서 방어성 척도의 응답양상을 확인하고, 방어성 척도와 부정정서 및 임상적 성격특성 척도 사이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지원자들은 규준 집단에 비해 방어성 척도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고, 방 어성 척도 점수는 부정정서 및 대부분의 임상적 성격특성 척도 점수와 부적 상관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방어성 점수를 기준으로 상하위 집단을 구분하였을 때에도 방어성 고집단은 저집단에 비해 거의 모든 척도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반면 연극성 성격특성과 강박성 성격특성 척도 점수는 방어성 척도 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방어성 상하위 집단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다. 본 연구 결과는 자기보고식 평가를 활용한 인사선발 장면에서 나타나는 방어적인 응답양상을 확인하고, 부 정정서 및 임상적 성격특성과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나아가 보다 체 계적이고 효과적인 인적성 평가 및 인사 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