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불안정 성인애착과 결혼불만족 간의 관계에서 자기대상과 정신화의 매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기혼 남녀 369명(남자 155, 여자 214)이며 성인애착 척도, 자기대상 척도, 정신화 척도, 결혼불만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서 상관관계와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불안정애착인 애착불안과 애착회 피는 정신화 및 결혼불만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불안정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과 자기대상과는 유의 한 부적 상관을, 자기대상은 정신화 및 결혼만족도와 부적 상관을, 정신화와 결혼만족도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불안정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은 자기대상과 정신화를 각각 매개하여 결혼불만족에 영 향을 미쳤으나, 불안정애착이 자기대상과 정신화를 이중 매개하여 결혼 불만족에 미칠 것이라는 모형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불안정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은 결혼불만족에 자기대상과 정 신화를 매개하여 간접 경로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는 불안정애착이 결혼불만족으로 이어지는 과 정에서 자기대상경험과 정신화가 개입할 수 있는 주요 요인임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부부상 담에 적용하면, 상담자는 내담자가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자기대상 경험을 충분히 하고, 자신의 감정을 명확히 인식하고 조절하여 부부관계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치료적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 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대한 한계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