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삶속에는 여러 가지 고통과 불행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인간의 삶은 고통과 불행 에서 벗어나 즐거움과 행복을 추구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사회적동물인 인간은 ‘개인으로서 의 나’ 와 ‘관계 속에서의 나’ 의 두 가지 모습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개인으로서의 존재가치 를 실현하고, 다른 사람과의 친밀한 관계를 형성해 감으로써 삶을 풍요롭게 하고자 한다. 이에 가족은 개인과 사회의 중간에서 개인과 가족 그리고 사회가 유기적으로 상호 연결되고 협력하 여 통합적으로 유지되고 발전하는 토대를 제공한다. 가족과 사회 환경에 대한 변화로 인해 가 족에게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인간의 본질적인 특성인 개인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소속감의 욕구 충족은 건강한 가족에서 얻어질 수 있다. 개인과 사회를 위한 가족은 건강한 에너지를 공 급하는 허브(hud)로서 중요한 구심점이 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인간과 가족 그리고 사회는 밝 은 면과 어두운 면을 함께 겪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현대가족이 겪는 여려가지 부정적인 요소는 갈등과 스트레스를 증폭시키고 나아가 가정폭력과 사족해체까지도 가져올 수 있는 잠재성이 있음을 간과 할 수 없다. 모든 사람은 자기 나름대로의 생각과 감정, 가치, 지위, 의미 등을 가지는데 다른 사람이 이를 이해하고 존중해 주지 않을 때 갈등이 발생 한다. 가족갈등은 ‘나와 그들’ 간의 갈등이 아니라 ‘나와 우리’ 또는 ‘우리와 우리’ 의 갈등이므 로 더욱 고통스럽다. 여러 해가 지난 후에 돌이켜 보면 결과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도 하지만, 그것이 다루어지는 과정 중의 싸움은 매우 파괴적이어서 불신, 분노, 등을 남길 수 도 있다(Kreisberg,1998 재인용).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사례연구결과 및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