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음인지역치검사를 위한 한국표준 일반용 이음절어표 개발
-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 청능재활 제4권 제1호
- : SCOPUS, KCI등재
- 2008.01
- 28 - 36 (9 pages)
어음청각검사(speech audiometry)는 일상생활의 의사 소통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의미 있는 검사방법이 다. 이 중 어음청취역치(speech reception thresholds, SRTs)는 제시된 이음절 단어를 50% 정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작은 강도를 측정하는 검사로 순음청력검사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검사의 신뢰도를 확인하고, 단어 인지도(word recognition scores, WRSs) 검사의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20) 최근에는 어음청취역치 대신 어음인지역치(speech recognition thresholds, SRTs)라는 용어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 서도 어음인지역치로 사용하고자 한다.24) Katz(2002)에 의하면 어음인지역치와 기도 순음청력 검사의 평균역치(500, 1,000, 2,000 Hz)와의 차이가 ±6 dB 이내이면 검사의 신뢰도가 우수한 것으로, ±7~12 dB 사이라면 검사의 신뢰도가 보통인 것으로 그리고 ±13 dB 이상이면 신뢰도가 저조한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한다. 어음인지역치검사를 위해 주로 사용되는 어음표는 양양(강강)격 단어(spondee word)로 구성된 이음절어표로 ① 친숙성(familiarity) ② 음소적 비유사성(phonetic dissimi-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S AND CONCLUSIONS
REFERENCES
APPENDIX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