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음양과한칸의미학

  • 15

동서를 초월하여 인용되고 있는 음양개념의 건축에의 응용은 사상적 배경으로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과 집, 내부공간(안)과 외부공간(밖), 공간과 형태의 관계, 건축공간의 성질 등 건축을 이루는 구성부분들의 관계에 이르기까지 두루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음양개념에 대한 서구적 이해나 관점의 상호모순성은 그 적용 및 응용에서 많은 한계를 드러낸다. 역사주의적 관점에서 조선시대의 상황으로 돌아가 음양개념의 이해와 건축에의 적용을 살펴보는 것이 우선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현재의 관점에서 우리시대의 문제를 전제로 음양개념, 건축체계의 보편성을 살펴본 후 방 한 칸에서 채, 마당, 자연에 이르는 관계의 미학을 조선시대 상류주택(하회, 양동마을의 기와집)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주택건축은 일상생활을 담고 있기 때문에 궁궐, 사찰, 서원건축에 비해 형식에서 벗어나기 쉬운 특성을 지녀 구성요소들 사이의 모순, 우열을 읽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Ⅰ. 머리말

Ⅱ. 건축의구성부분과음양의다의성

Ⅲ. 음양과한칸(커다란 관계)의 미학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