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한글 서예의 기원으로서의 최고판본은 1446년 훈민정음 반포와 함께 만들어진 <훈민정음해례>이다. 한글 서예는 훈민정음 반포 당시의 이 판각체에서 비롯하여 550여년이 흐르는 동안 점차 쓰기에 편한 필사체로, 더 나아가 보고 감상하기에도 아름다운 다양한 한글 서예체로 변화 발전하였다. 이 글에서는 한글 서예의 변천 과정에서 한글의 대표적인 서에체로 자리잡은 궁체의 한국 서예사적의미와 그 예술적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I. 머리말
II. 궁체의 형성과정
1. 궁체 이전의 한글 서체
2. 궁체의 발생
3. 궁체의 정착 및 확산
III. 궁체의 정체성
1. 궁체는 ‘한국적’ 서체인가
2. 궁체는 ‘여성적’ 서체인가
IV. 맺음말: 궁체는 ‘예술적’ 서체인가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