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앤디 워홀과 대중주의

  • 323

1960년대 이후 미술의 궤적은 미니멀리즘을 중심으로하는 추상의 흐름 과 더불어 아방가르드로서의 팝아트가 리얼리즘의 성향을 보이며 재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팝아트는 이후의 예술가들에게 견고한 기 존 미학의 울타리를 제거해 줌으로써 다양한 가능성의 활로를 열었다. 팝 아트의 대표적인 작가 중 한 사람인 앤디 워홀(Andy Warhol, 1928~1987) 은 고급예술과 대중예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기존 미술계에 다양한 논의 를 불러일으켰으며, 기존의 미술이 갖는 정의를 여러모로 흔드는 일들을 과감히 행했고 이에 대한 미술비평가와 문화이론가들의 서로 다른 시각은 현대미술에 대한 예리한 문제점들을 수면위로 올리는 성과를 거두었다. 1964년에 제작된 앤디 워홀의 <브릴로상자>를 예로 들어 ‘예술의 종 말’을 언급했던 아서 단토를 비롯한 미학자 혹은 철학자들이 워홀의 작품 을 통해 드러내 보인 생각들을 되짚어봄으로써 팝아트가 기존미술계에 가한 반격의 영향을 읽을 수 있다. 특히 1964년 4월, 아서 단토는 뉴욕 스 테이블 갤러리에서 열렸던 앤디워홀의 <브릴로 상자> 전시회를 접한 후, 예술의 종말에 이르게 되는 일련의 이론들을 제시한다. 과거에는 미술작 품은 언제나 미술작품으로 확인가능하다는 암묵적 신념이 있었다. 그러 나 현대미술은 왜 그것이 예술작품이 되는지를 설명해야하는 새로운 철학 적 물음이 요구된다. 왜냐하면 단토가 앤디 워홀의 전시에서 목격한 <브릴 로 상자>는 일반 사물과 시각적인 차이를 전혀 찾아볼 수 없음에도 불구 하고 예술로 정의되기 때문이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워홀에 이르러 현대 미술을 미술로 만들어주는데 시각적인 요소가 관여하는 바가 전혀 없음을 인정하게 되었다. 따라서 눈만 갖고서는 예술과 한갓된 실제 사물 사이의 차이가 밝혀지지 않는다. 예술작품이 무엇인지 알고자 한다면 감각경험으 로부터 사유로 전환해야한다. 바로 철학으로 향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앤디 워홀의 <브릴로 상자>를 통해 이끌어낸 단토의 예술종 말론은 과정자체가 미술의 역사에서 정의된 미술사적 예술개념에 고착 되어있어 문제의 핵심을 다른 각도에서 접근하게 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 다. 따라서 단토가 <브릴로 상자>에서 진행시킨 논리와는 다르게 보다 본 질적이고 실용적인 시각으로 돌아가 미술의 의미

I. 들어가는 말

II. 20세기 중반 미국 현대미술과 팝아트

III. 앤디 워홀과 아서 단토의 예술종말론

IV. 대중예술에 대한 또 다른 접근

Ⅴ. 맺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