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본 연구는 가족중심의 사례관리’가 이론적으로 어떤 것인가에 대한 정체 규명을 고민하고, 우리나라에서 실천되고 있는 ‘가족중심의 사례관리’의 진단을 통해 그 함의와 발전방안을 탐 색적으로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외국의 주요 가족관계 사례관리 모델과 우리나 라에서 적용되는 여섯 개의 사회복지기관 사례를 질적 분석하여 도출된 가족중심사례관리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중심 사례관리의 초점단위는 가족구성원 개인뿐 아니라 집단적 성격을 지닌 한 단위로서 ‘전체로서의 가족’이 주 대상이 되며, 둘째, 가족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면서 강점 관점으로 접근한다. 셋째, 가족의 기능과 체계, 가족환경에 대한 사정과 개입의 준거틀은 생태체계적 접근에 기반한다. 넷째, 가족중심사례관리자는 가족의 체계와 기 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족치료 및 상담, 가족옹호와 임파워먼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가족역동성에 대한 지식 및 훈련이 필요하다. 마지막 다섯째, 젠더관점에서 양성 평등적이고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하는 문화민감성에 기반 한 사례관리 실천이 지향되도록 한다.
Ⅰ. 서 론
Ⅱ. 왜 ‘가족중심’이어야 하는가?
Ⅲ. 외국의 가족중심사례관리 동향
Ⅳ. 한국의 가족중심 사례관리의 근거
Ⅴ. 우리 사회복지현장의 가족중심사례관리 실천방향
Ⅵ. 맺는 글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