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정서행동장애아동 통합적 치료과정에서 부모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657
131696.jpg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행동장애아동을 둔 부모가 아동의 문제를 인식하게 된 이후, 전통적 치료와 통합적 치료과정에 서 겪은 경험을 질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치료과정에서의 경험은 어떤 의미였는지 또한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 였는지에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전통적 치료와 통합적 치료를 경험한 정서행동장애아동 부모 8 명을 표집방법으로 표본추출 선정하였다. FGI 와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서행동장애 아동 부모의 경험은 문제인식 단계, 전통적 치료경험, 통합적 치료경험으로 구분되며 다음과 같다. 문제인식단계에서 정 서행동장애아동의 부모들은 아동의 행동을 문제라고 인식하지 못했지만 주변으로부터 확인받게 되면서 혼란스러움을 경험한다. 또한 내 아이가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까 노심초사하며 위축됨을 경험한다. 주변인들로부터 이해받지 못하고 소외감과 부정적 정서를 갖게 되면서 극심한 우울, 자살시도 등 양육의 버거움을 안고 살아간다. 전통적 치료단계에서 아이의 문제와 관련한 치료방법, 치료기관 등 정확한 정보가 부재한 상황 속에서 여러 가지 채널을 통해 알게 된 다양 한 치료 전문가를 만나게 된다. 전문가 중심의 치료과정에서 충분치 않은 설명, 치료자와 관계의 불편함, 문제원인에 초 점을 두는 전문가로 인해 ‘문제부모’라는 죄책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지속적인 치료비의 부담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호 소하고 이로 인해 치료를 중단하기에도 이른다. 통합적 치료단계에서 개방적인 치료환경과 열린 상담을 경험하면서 부 모는 아이에 대한 이해가 생기고 ‘부모로서의 나’에 대한 성찰을 경험한다. 아이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로 ‘한 인 격체로서의 아이’로 바라보게 된다. 지속적인 상담과 부모교육을 통해 양육방식이 변화되고 마음에 힘이 생긴다. 또한 치료자와 기관 그리고 엄마들의 자조모임 등 조력자와 자원이 생긴다. 가족단위로 통합치료에 참여하게 되면서 가족관 계의 긍정적 변화를 경험한다. 통합적 치료를 통해 부모들은 달라진 아이의 모습은 인지하는데 ‘친구들과 어울리는 아 이’, ‘자신감이 생김’, ‘혼자 할 수 있는 일이 생김’, ‘분노를 조절하게 됨’, ‘자신의 감정을 표현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서행동장애와 부모들이 문제인식 단계 초기에 겪은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