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징(symbol)은 의미를 잉태하는 것이므로 언어로 남김없이 해석할 수 없는 어떤 미지의 것에 대한 최선 의 표현이지만 전부는 아니다. 만일 상징이 남김없이 설명된다면, 그 심리적 상징의 살아있는 의미는 죽은 것이다. 상징적 의미란 ‘이것은 무슨 상징이다’라는 말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확충의 과정을 통틀어 우리의 마음속에 새겨지는 심상이나 인식 속에 있다. 상징을 만드는 인간의 능력을 탐구하려면 그 소재가 되는 것 은 꿈이다. 꿈은 의미를 지니고 있는 무의식의 고유한 표현이며, 대부분의 상징들이 싹트고 자라는 토양이 다. 본고에서는 신화, 민담, 민화(民畵), 색채 등의 다양한 한국문화 요소들 및 필자의 꿈에 등장한 백호를 통하여 꿈에 나타난 백호의 상징을 분석심리학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한민족의 역사, 문화, 풍습 속에 호랑이는 여러 측면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여 왔다. 한국의 건국신화인 단군신화에 나타난 호랑이는 사람이 되기 위한 100일간의 수행을 견디지 못하고 뛰쳐나가 산속이나 민화 속으로 사라진 반면, 고분벽화 등 문화재속에 나타난 백호는 신령스러움과 신성함의 의미를 지닌다고 해석되기도 한다. 한편, 민 담에서의 호랑이는 크게 세 가지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신적인 힘을 가진 신성의 호랑이, 인간적인 측면이 강조된 효를 아는 인성의 호랑이, 아직 미분화되어 의식화하지 못한 동물 상태인 수성의 호랑이가 그것이다.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백호는 그 중 신적인 힘이 있는 신령스러운 호랑이로 볼 수 있 다. 특히 민담에서 백호는 산신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영혼의 인도자이거나 누미노제(신성성)를 지닌 동물 상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그 상징성은 자기원형의 큰 의미가 되기도 한다. 백색은 빛의 색이며 검은색은 어 둠과 관련된 색이다. 백호는 빛과 어둠의 전체적인 측면을 다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분석심리학에서 말 하는 자기(Self)의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무의식이 보내는 내용을 중요하게 받아들이고 그 의미를 확충 하여 통찰하여 가는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꿈에 나타난 백호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고찰해보았다.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