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뇌 과학이론으로 총체적 언어 교육을 재조명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체적 언어와 사고에 대해 살펴본 후, 총체적 언어의 뇌 과학적 기제에 대해 알아보았다. 언어와 사고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서로 영향을 준다. 언어의 본질을 사고의 본질로 보는 관점에서는 음성언어․문자언어뿐만 아니라 신체언어․시각언어․청각언어를 포함하는 확장된 개념의 언어관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사고 작용과 관련되는 듣기․말하기․읽기․쓰기․보기․보이기와 같은 언어 기능 또한 근본적으로 구분될 수 없고 실제 사용에 있어서도 상호 보완적이므로, 언어교육에서 총체적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뇌에서의 언어 정보 처리 과정은 좌뇌와 우뇌가 서로 다른 처리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면서 전뇌(whole-brain)를 활용하여 이루어진다. 아동마다 타고난 뇌의 기능은 제각기 다르므로, 개개인의 뇌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뇌를 활용하는 언어 학습이 효율적이다. 뇌 과학이론으로 볼 때, 총체적 언어 교육은 아동마다 타고난 뇌의 기능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전뇌를 활용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1. 서론
2. 총체적 언어와 사고
2.1. 총체적 언어 교육의 개념 및 동향
2.2. 사고의 측면에서 본 총체적 언어
3. 총체적 언어의 뇌 과학적 기제
3.1. 뇌 과학이론의 연구 동향
3.2. 뇌의 구조와 기능 및 발달
3.3. 음성언어․문자언어 처리 기제
3.4. 신체언어․시각언어․청각언어 처리 기제
4. 논의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