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태도’

  • 90
커버이미지 없음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2009년에 개정된 국어과 교육과정은 국어과 교육의 내용 영역을 지식, 기능, 태도 의 세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국어교육에서 태도 교육은 1) 지식 · 기능과 분리되는 태도교육 2) 지식 · 기능에 융합되는 태도교육 3) 지식 · 기능에 대한 메타인지 차원 의 태도교육 등으로 범주화 할 수 있다. 국어과 교육에서는 일차적으로 국어현상에 대한 태도를 가지게 하고, 이를 바탕으 로 국어현상을 학습하려는 태도를 기르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궁극에는 국어에 대한 인식을 높이도록 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태도는 국어 지식이나 국어 기능을 배우는 방향을 이끌어가는 내적 기제가 되기도 한다. 언어를 인식하고 습득할 때 인 지 발달의 측면, 정의 발달의 측면, 사회성 발달의 측면에 태도 요인은 늘 개입하고 작용한다. 특히 언어 인식이 어떤 의식화 과정과 결부될 때 태도 요인이 매우 중요하 게 작용한다. 국어과 교육은 인접 학문들과 융합하여 태도 교육의 내용을 더 심도 있게 개발할 수 있다. 예컨대 동기 심리학의 ‘방어기제’가 언어적 양태로 발화되는 다양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또 ‘언어발달’과 ‘긍정의 태도’가 상관성 높게 연결되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태도’를 지나치게 발달 심리학의 내용으로만 이해하려 하면, 국어교육학의 발전에 도움을 얻기 어렵다. 국어교육학자들이 지니는 ‘이론적 지향’은 ‘태도’의 일종이다. 이는 ‘가치의 가치를 추구하는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태도는 지금의 국어교육학자들에게 특히 필요 하다.

Ⅰ. 태도의 범주와 층위

Ⅱ . 언어 인식의 다면성과 태도

Ⅲ. 국어과 태도 교육의 외연과 내포

Ⅳ. 국어교육학과 학문 이론적 태도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