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제시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 463
커버이미지 없음

이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제시 방식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의 교육과정 구현에 필요한 성취기준 요소 및 제시 원리를 추출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성취기준 진술의 적합성 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구현에 필요한 성취기준 요소는 국어과 교육의 특징을 토대로 핵심 요소와 지원 요소로 추출하였고 성취기준 제시 원리는 명료성, 일관성, 상세화로 제시하였다. 성취기준 제시 원리를 기준으로 성취기준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료성은 성취기준의 핵심 요소와 지원 요소를 명확히 제시하는 것으로 분석 결과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5 개정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은 성취기준 에 ‘학습 요소’를 별도로 제시하고 있다. 이것을 기준으로 핵심 요소와 지원 요소를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명료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 ‘학습 요소’를 진술 하는 방식의 명확성과 통일성, 그리고 ‘학습 요소’ 내용의 타당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일관성은 성취기준의 핵심 요소와 지원 요소를 하나의 방식으로 일관되게 진술하는 것으로 분석 결과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5 개정 초등 국어과 교육 과정 성취기준에는 4가지 진술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교사의 가독성을 낮추 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교사의 가독성을 위해서는 성취기준 제시 방식을 통일할 필요가 있다. 셋째, 상세화는 성취기준의 핵심 요소와 지원 요소를 통해 양질의 교육 내용을 제공하는 것으로 분석 결과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취기준 82개 중 33%는 해설이 없고 진술문에도 핵심 요소만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성취기준 제시 방식은 교사의 교육과정 상세화를 어렵게 만든다. 향후 교육과정은 개별 성취기준의 핵심 요소와 지원 요소가 성취기준 진술문이나 해설을 통해 확보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야 할 것이다.

1. 서론

2. 성취기준 요소와 제시 원리

3. 성취기준 제시 방식 분석

4.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