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1890.jpg
KCI등재 학술저널

보훈학 정립을 위한 역사적 배경과 현황

  • 43

과학적 지식은 주관적 지식과 상식을 뛰어넘어 역사성과 지역성을 초월한 보편타당성을 특색으로 한다. 또한 과학적 지식은 사실로부터 추상된 순수 이론적 지식이지만 동시에 실험을 통하여 경험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실증적 지식이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처럼 단편적인 경험과 실험에 의한 지식은 學(science, wissenschaft)이라고 일컫지 않으며 개개의 지식이 필연적 연관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전체를 형성한 체계화된 지식을 學(論)이라 한다. 보훈 관련 지식이 學이나 論으로 성립되기 위해서는 보훈업무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된 군사학, 정치학, 사회학, 국가학, 행정학, 역사학, 문화인류학 등과 연관된 분야를 과학적인 방법(scientific method)을 통하여 종합적인 전체이론으로 성립 될 수 있도록 체계화 되어야 한다. 학문운동으로서의 「보훈연구」 는 분명히 어느 시대의 역사적 현실의 소산으로서 가치가 있다. 「보훈연구」 의 문제관심과 연구방향의 중심의 변천 혹은 그 화개 심화를 일별하는 것만으로도 「보훈연구」 가 과학적, 객관적인 연구임을 부인할 수 없으며, 또한 그 역사성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국가를 중심으로 한 정책과학은 결코 자동적으로 보훈연구를 전략론 패러다임으로부터 변형을 일으켜 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전쟁론, 평화학, 미라핵 연구의 비판 과학적 측면의 영구성처럼 보훈학 영역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확보함이 시급하다. 한국 보훈학 정립을 위한 당위성은 한반도의 지정학적인 조건으로 인한 내우외환의 역사 때문에 외국 어느나라 보다도 보훈제도가 오랜 역사성을 띄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지만, 아쉬운 점은 애국 · 애족이 깃든 보훈정신이 역사형성과 국가유지에 결정적인 기능을 수행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학적인 연구대상으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아 보훈의 무궁한 자원이 그냥 역사 속에 묻혀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한국 보훈학회의 창립은 시의 적절하며 한국 보훈학의 정립을 계기로 보훈대상의 영역을 뛰어넘어 한반도를 비롯한 세계의 전쟁을 억지하고 인류평화에 크게 기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바탕에서 본 연구는 보훈학의 역사적 배경과 그 현황 고찰이지만 이에 앞서 먼저 정립된 국가학의 현황을 살폈으며, 이와 관련하여 형성된 한국의 보훈제도와 보훈문화의 발전과정에서 보편적인 학으로서의 단서를 역사적 접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보훈학정립을 위한 인접학의 이해

Ⅲ. 국민개병제와 보훈제도의 도입

Ⅳ. 한국의 전통적인 보훈제도와 보훈문화

Ⅴ. 보훈학 정립상의 과제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