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학계에서는 국가보훈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과학적이고 통일적인 개념 규정이 없는 실정이다. 그 결과 국가보훈학의 연구방법도 미미한 상태이다. 국가보훈학이 정립되지 않는 가운데 국가의 보훈정책, 보훈제도 속에서 국가보훈학은 일부 학문적 접근 차원에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일부의 학문적 접근에도 불구하고 문제는 일반적으로 국가보훈학에 대한 개념규정을 명확하게 규정하지 않고 막연하게 보훈정책과 보훈제도의 차원에서 접근해온 것에 불과했다는데에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도 국가보훈학의 윤곽이나 국가보훈학에 대한 과학적 개념은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고 있다. 국가보훈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나라에 따라 역사적 시대에 따라 달리 사용했기 때문에 그 개념도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 글은 국가보훈학의 정립을 위한 국가보훈학의 개념과 그 연구방법론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 글의 연구목적은 국가보훈학의 정립에 관한 시론으로서 국가보훈학의 개념과 연구방법론을 정식화하는 데에 있다. 이 글의 전개내용은 국가보훈학의 개념과 연구대상, 국가보훈학의 성립과 특성, 국가보훈학과 주요 학문과의 관계, 국가보훈학의 연구방법론, 결론 순서로 작성되었다. 특히 국가보훈학 정립을 위한 개념 규정의 이론화, 모형화는 시론으로서 제기된 것이다. 그로 인해 이 글은 아직도 많은 부분에서 국가보훈학에 관심을 갖고 있는 많은 학자들과 전문가들에 의해 앞으로 계속 보완 · 수정 · 발전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이로써 국가보훈학의 연구는 이미 시작되었다고 선언해도 좋을 것 같다. 이 글은 국가보훈학의 시원, 개념, 모형 등을 체계화 · 과학화시키는 작업을 학계에서 처음 시도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본다. 특히 국가보훈학의 시원과 개념을 설정해보고 독자적 학문체계로 정립되어야 할 당위성과 그 연구방법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이 글의 기대효과는 앞으로 국가보훈학의 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활용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향후 국가보훈학의 정립에 대한 학자들의 인식 제고와 그들의 연구활동에 참고자료로서의 활용가치가 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국가보훈학의 등장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전제 하에 이 글은 국가보훈의 필요한 지식과 이론을 제공하기 위하여 명실상부하게 하나의 독립된 학문의 영역으로서의 국가보훈학을 제시하고 있다.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국가보훈학의 개념
Ⅲ. 국가보훈학의 성립과 특성
Ⅳ. 국가보훈학과 연관 학문과의 관계
Ⅴ. 국가보훈학의 연구방법론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