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1893.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광복군의 창설과 그 활동

  • 322

한국광복군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군이다. 따라서 한국광복군은 현재 국군의 모체이기 때문에 한국광복군의 결성과 조직의 변천 및 군사 활동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그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사 활동은 크게 2단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광복군 설립 이전에도 임시정부는 이미 만주지역 독립군 세력에 하나인 광복군총영과 참의부를 통해 활발한 군사활동을 전개하고 있었으며, 이는 이후 임시정부가 광복군을 조직할 수 있는 역사적 전통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광복군은 조직단계에서 보면 대한제국기의 한국군을 이념적 모태로 하고 만주지역 독립군으로 이어지는 역사적 전통 속에서 임시정부의 국군으로 조직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1940년 9월 17일 광복군의 성립은 임시정부 투쟁노선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었는데 이 시기에 이르면 임시정부는 외교독립노선의 한계를 절감하고 독립을 위한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 무장투쟁에 있음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임시정부가 김원봉의 조선의용대와 주도적으로 통합할 수 있었다는 것은 광복군의 투쟁역량 강화라는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임시정부가 이념적으로도 통일정부 지향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셋째, 1930년대 후반에 만주지역에서 활동하던 이청천, 오광선, 황학수, 조경한, 김학규 등이 관내로 이동하여 임시정부에 참여한 것은 임시정부가 광복을 조직하고 향일무장투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본동력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넷째, 임시정부의 군사 활동은 초모공작, 교육훈련, 선전활동 등이 중심이 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밖에도 인도 · 버마 전선에서의 영국군과의 연합작전 전개나 미군과 연합합 OSS훈련 등의 특수작전에 참여하여 대일항전에 있어 우리 민족에게 새로운 활기를 진작시킨 점에서 역사적 의의는 크다고 하겠다. 그러나 대내외적 여건의 어려움과 광복군 자체 역량의 부족으로 인해 일본군을 직접 상대한 독립전쟁을 수행하지 못함으로써 무장독립군으로서의 일정한 한계를 지니는 측면도 있었다고 하겠다. 요컨대, 3.1운동의 성과로 우리 민족운동의 역량을 결집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민주공화제를 채택하고 민주헌정을 기본으로 하는 국민국가전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민주공화제를

요약

Ⅰ. 머리말

Ⅱ. 임시정부의 초기 군사 활동

Ⅲ. 광복군의 결성과정

Ⅳ. 광복군 조직의 확대와 군사 활동

Ⅴ.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