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한국은 다문화사회에 대한 논의가 뜨겁게 진행되고 있다. 논의의 핵심은 포섭과 동 화에서 융화로의 진화이다. 그러한 논의의 중심에 있는 것이 북한이탈주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한국 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이 겪을 개연성이 높은 사회성 문제의 실상을 실 증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그 개연성과 실상의 인과관계를 과학적으로 측정 하고 분석 가능한 연구모형으로 개발하여 한국 사회 내에 존재하고 있는 다른 사회적 배제 집단 또는 계층과 비교할 수 있도록 실증연구의 가능성과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 는 1996년 이후 2009년 12월까지 한국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 중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광 역시 및 도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이를 통 계적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사회적 배제 유형과 사회성에 대한 가설검증 결과 경제적 배제 는 사회적응성과 생활만족도에서, 공간적 배제는 사회적응성과 생활만족도에서, 사회관계적 배제는 사회적응성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 에 따른 사회적응성의 상호조절효과 분석결과는 공간적 배제에서, 생활만족도의 상호조절효 과 분석결과는 사회관계적 배제에서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유의미하게 상호조절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 따른 사회적응성의 상호조절효과 분석결과는 공간적 배 제에서, 생활만족도의 상호조절효과 분석결과는 공간적 배제와 사회관계적 배제에서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유의미하게 상호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 북한 이탈주민은 한국 사회에 적응·정착과정에서 다양한 유형의 사회성 부족 현상에 처해질 개연 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개연성은 특정 사회영역에서 부분적인 영역으로 나뉘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총체적인 삶의 한 과정으로 복합적이고 다차원적 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설계
Ⅳ. 실증 분석
Ⅴ.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