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1911.jpg
KCI등재 학술저널

김정일의 방어기제와 상징전략

  • 28

과거 북한 김정일의 세습구도 정착화를 위해 김일성은 주체사상의 창시자, 김정일은 그 구현자로 각인시키기 위한 김정일=김일성 등식화 작업이 일층 강화시켰다. 따라서 김일성-김정일 합성화 사업에 총력을 기울여 온 북한의 김정일 체제 구축을 위한 상징 전략이 일단 성공하였다고 하겠다. 그런데 상징정책도 본래 의도한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그 나름대로의 논리가 정당화될 수 있는 현실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하다. 따라 서 어떤 그럴듯한 상징전략일지라도 그 허구성이 강하면 강한 만큼 종국에 가서는 그자 체내의 모순에 의해 역기능을 드러낼 것이다. 주체사상이라는 터무니없는 허구에다 기 반을 둔 김정일 세습을 위한 상징전략이야말로 그 조작성의 고도화로 인해 오히려 상징 정책의 주요한 특성인 의도되지 않은 결과, 즉 반작용의 위기를 필연적으로 맞게 될 가 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에서 김일성=김정일로 이어지는 권력구조의 창출 이면에는 주체사상을 중심에 둔 고도의 상징조작이 작용했다는 점을 중시하고, 상 징조작에서의 왜곡성이 초래 할 역기능을 북한의 권력구조의 붕괴가능성과 관련시켜 검 토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떠한 정치적 상징을 이용했는지를 분석하였다. 김정일 은 리더십 활용상징전략, 김일성=김정일 은유상징전략, 신화창조전략, 대응상징전략을 구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김일성=김정일 은유에서 보여 지는 상징전략 등 정치상징전략은 실패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여 진다. 여하간 북한 체제를 위해 상 징전략을 사용하는 것은 상징이 가져다주는 효과 때문이다. 즉 상징은 진실을 은폐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사람들에게 심리사회적 만족을 주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1.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김정일의 방어기제

Ⅳ. 김정일 체제유지와 정치적 상징전략

Ⅴ. 요약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