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본 연구는 한국의 국력 신장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자료포락분석 기법을 활용 하여 G20 국가의 능률성과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포락분석 기법은 국가의 성과를 평 가하는 비교적 새로운 접근법이다. 자료포락분석의 결과, 국정관리력 부분에서 한국은 정치적 안정성, 법치주의, 그리고 정부효과성에서는 강점을 보였다. 반면, 시민의 참여 및 책임성과 부패의 통제 그리고 규제는 다른 나라들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 타났다. 사회변화 대처력의 경우에는 새로운 도전에 대한 국민들의 유연성과 적응력, 세게화에 대한 긍정적 태도, 개혁적 성향, 가치체계의 경쟁수용성, 지식창출지수, 인구 1000명당 인터넷 이용자수는 강점 지표로 나타났고, 기업의 변화적응력, 이질적인 것 에 대한 개방적 국가문화, 고위경영인들의 국제적 경험도, 영어숙달도, 과학기술 논문 수는 다른 나라들 보다 상대적으로 약점지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한국은 국가경쟁력의 강화를 위해 시민참여, 정부의 책임성, 부패의 통제, 그 리고 규제와 같은 국정관리력 부분과 사회체계의 유연성, 기업의 변화적응력, 개방적 국가문화, 지식창출력, 영어숙달도, 과학기술 논문수 등의 강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는 점을 강조하였다.
Ⅰ. 서 론 Ⅱ. 국력의 이론적 고찰 Ⅲ. 투입변수로서의 국정관리력과 사회적 자본력 Ⅳ. DEA에 의한 평가 및 결과 분석 Ⅴ. 결 어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