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1917.jpg
KCI등재 학술저널

국정관리력이 국가성공에 미치는 영향: 50개국 사례를 통해 본 한국과 북한의 특성 분석

  • 55

본 연구는 국정관리력과 국가성공의 영향관계를 한국과 북한을 비교하여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국정관리력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변수로 시민참여, 정치 안정, 법치 변수로 사용하였으며, 국가성공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2013년 포린 폴리시 (Foreign Policy)와 평화재단(Fund for Peace)의 실패국가지수(Failed States Index) 자료를 역산하여 사용하였다 SPSS를 이용한 회귀분석 결과 정치안정이 0.370으로 국가성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시민참여가 0.327, 법치는 0.294로 가장 낮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북한은 50개국과 비교하여 시민참 여, 정치적 안정성, 법치 등의 국정관리력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함 의는 앞으로 한반도의 통일에 대비해 남북한 간의 심각한 격차를 통일 전에 줄이는 정책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Ⅰ. 서론 Ⅱ. 국가실패와 국가성공에 대한 기존연구 Ⅲ. 국정관리력 Ⅳ. 국정관리력과 국가성공의 관계분석 Ⅴ. 결어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