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인의 나라사랑 함양 방안을 공화주의적 애국주의 관점에서 체계적으 로 고찰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이를 위해 국가보훈처와 동아시아연구원의 설문자 료를 바탕으로 호국정신,국민적 자부심,사회자본 3자 관계의 일체화에 초점을 맞추 어 우리사회의 나라사랑 실상과 변화추세를 규명하고 치료적 처방과 예방적 처방을 제시해 보고자 했다.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우리 사회의 나라사랑은 호국정신,국민적 자부심,사회자본의 3자간 불균형 상태 때문에 종족적 정체성에 토 대한 ‘맹목적 애국심’의 특성을 가진 채 시민적 정체성에 기초한 ‘구성적 애국심’과의 연속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불건강한 상태로 분석되었다.둘째 우리사회의 나라사랑은 심층적인 3개의 변화 흐름,즉 근대 정치적 속성을 내포한 ‘대한민국 국민정체성’을 구성해 나가는 추세,민주적 시민성의 성장에 따른 나라사랑의 분절적인 효과와 그에 따른 ‘맹목적 애국심’과 ‘구성적 애국심’의 복합적 공존추세,그리고 비대칭적인 물질 주의 선호도 형성에 따른 사회자본의 왜곡과 그에 따른 나라사랑의 제한적인 외연확 대 추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셋째 우리사회의 나라사랑에서 표출되고 있는 부정적 징후는 치료적 처방과 함께 예방적 처방이 모두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 다.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국가가치 체계로서의 공화주의적 애국 주의 내면화,초과의무 행위로서의 호국정신의 도덕적 위상 정립,기억공동체 만들기 로서의 기념과 기억매체 활성화,그리고 나라사랑의 시민적 동력으로서의 사회자본 강화를 정책적 함의로 논의하였다.
I.서 론 Ⅱ.나라사랑 분석관점과 논의의 틀 Ⅲ.진단:우리사회의 나라사랑 실태는 어떤 상태에 있는가? Ⅳ.예측:나라사랑은 어떤 진행경로를 걷고 있는가? V.처방:나라사랑 함양을 위해 어떤 개입이 요구되는가? Ⅵ.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