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이 끝난지 65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남북 분단 상황에서 상시적으로 안보 위협을 받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유엔 참전국가와 참전용사들의 공훈에 감사하고 보 답함으로써 참전국과의 우호관계를 더욱 돈독히 하는 보훈외교 강화에 역점을 두어 야 마땅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참전국과의 혈맹관계를 미래협력의 동반관계로 발전 시킴은 물론 대한민국의 국격과 이미지 제고에 귀중한 외교적 자산인 보훈외교의 당 위성과 함의를 찾아보고, 보훈외교 차원에서 수행되는 사업들에 대한 정책진단을 통 해 향후 보훈외교의 미래지향적 정책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첫째, 참전국과 참전용사 에 대한 감사행사 지속과 공훈선양 확대를 위해 3세대 중심의 세대를 이어가는 보훈 외교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유엔군 참전용사의 명예선양 방안으로 참전 용사 인명록 헌정, 공적 발굴 및 포상 확대, 참전기록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확대, 참 전유공자 지정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참전을 매개로 한 3세대 중심의 연계체계 구축 방안으로 참전 후손 초청행사 확대, 산업연수 기회 우선 부여, 참전용사 후손 장학사 업 확대 등을 제시하였다. 넷째, 참전국과 지속적인 국제교류협력 방안으로 국제보훈 워크숍을 통한 실무적 정책공유 강화, 참전국 보훈부와 상호 직무교류 프로그램 운영, 참전단체 간 국제교류협력사업 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보훈외교의 정책추진기 반 조성을 위해 보훈외교사업의 대상국가, 행정대상, 사업영역 측면에서 외연의 확대 와 보훈외교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조직 역량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Ⅰ. 서 론
Ⅱ. 보훈외교의 당위성과 함의
Ⅲ. 보훈외교사업의 현황분석과 성과진단
Ⅳ. 미래지향적 보훈외교의 방향성 탐색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