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살아가면서 죽음의 위협, 상해, 자연재해, 사고 등 심리적 외상이 될 수 있는 수많 은 사건을 경험하지만, 그 중 특히 전쟁 경험이나 전쟁 상황에 노출되는 것, 위협적이거나 실제적인 신체적 폭력, 성폭력, 납치, 고문, 감금 등은 인간에게 매우 큰 스트레스를 유발 한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이하 PTSD)란, 한 가 지 또는 그 이상의 외상성 사건에의 노출에 따르는 특징적 증상의 발달로, 외상사건을 경 험한 후 외상 사건과 관련된 침습 증상, 자극 회피, 인지와 감정의 부정적 변화, 각성과 반 응성의 변화를 경험하고 이러한 장애가 1개월 이상 지속되는 장애를 의미한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 2013). 연구에 따르면, PTSD는 다양한 외상 경험 중 특 히 전쟁 경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olusny, Kehle, Nelson, Erbes, Arbisi, & Thuras, 2011). 최근 미국에서 수행된 연구 결과, 이란과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서 돌아온 참전 군인의 13%정도가 PTSD를 호소하고 있으며(Kok, Herrell, Thomas, & Hoge, 2012), 전쟁에서 돌아온 300,000명에 이르는 미국 군인들이 PTSD 또는 우울증을 호소하고 있다(Miller, 2011). PTSD를 호소하는 참전 군인들은 물질 남용, 부부문제, 빈약 한 직업 이력 등의 문제를 나타내고, 친밀한 관계에서 상대방에 대한 신체적 공격성을 나 타내기도 하는 등 많은 심리사회적 문제를 호소한다(Tatf, Watkins, Stafford, Street, & Monson, 2011). 국내의 경우, 한국전에 160만 명, 베트남전에 31만 명이 참전하였고, 이 중 약 5만 여 명이 신체적·정신적 후유증으로 전국 5개 보훈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으며(정 문용, 1996), 2000~2004년 사이 약 2000여 명의 한국전쟁 참전 재향군인이 우울, 불안, PTSD 등 심리적 문제로 보훈병원에서 입원하거나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김태 열, 이성길, 2007). 또한 국내에서도 한국전, 베트남전 참전 군인의 PTSD에 대한 많은 연 구가 이루어져 왔다(e,g. 강성록, 김세훈, 이현엽, 2014; 김태열, 2011, 2012; 김태열, 장 문선, 2009; 엄세준, 최진희, 김태용, 정혜경, 정문용, 소형석, 2011; 장문선, 김태열, 2009).
I. 서론
II. 참전군인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선행연구
III. 연구방법
IV. 연구의 결과 및 논의
V. 정책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