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 선조들은 나라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초계처럼 버리면서 조국의 독립 과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한국전, 월남전, 특수임무 수행 중 수많은 젊은이들이 싸우다 전사하였다. 그 중 살아남은 자는 치열한 전장터에서 입은 상흔으로 인해 평생을 신체적 정신적 고통해 시달리고 있으며 잠을 제대로 못 이루고 병마 싸우고 있다. 이러한 분들의 의료지원을 위해 오래전부터 정부는 국립보훈병원을 설립하여 국가유공자 및 유족을 위한 국가보훈 의료체 계를 구축하여 이들의 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보훈병원은 1950 년대 최초 제2구호병원을 시작으로 중앙보훈병원, 부산, 광주, 대구, 대전보훈병원 총 5개 병원 을 운영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국가보훈 의료체계의 문제점과 정치적 논리에 의해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국가유공자의 경우 보훈병원이 지역내에 없어 위탁병원을 이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문 제점과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위탁병원은 2014. 7월말 기준 위탁병원 시?도?별 지정 현황은 경기 도가 50개로 가장 많게 나타났는데 경기도가 위탁병원이 가장 많은 이유는 경기지역의 보훈대상 자 수와 지역적 접근성과도 관련이 있으나 무엇보다 경기지역에 2차진료를 담당하는 즉 지방보 훈병원이 설립되지 않은 이유가 그 주 원인이라 사료된다. 이러한 부분은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보훈대상자들을 위한 보훈병원 부재로 지역 간의 형평성 문제가 대두되고 특히 이들의 자존감 저하 및 심리적 상실감이 증가되어 이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현실이다. 인 천지역의 경우 인구가 300만명으로 근접도시 수원, 안양, 광명, 부천, 김포 등을 포함하면 700만 의 인구로 보훈의료지원 혜택을 받는 국가유공자 및 유가족 인구 또한 30만명에 육박한다. 따라 서 경기 서북부 인천지역에 거주하는 국가유공자 및 유가족을 위한 인천보훈병원 설립은 논리적 으로도 많은 설득력을 얻고 있다.
I. 서 론
II. 외국의 보훈의료체계
III. 한국의 보훈의료체계 효율적 운영방안
IV. 인천지역 보훈의료전달체계 및 의료환경 분석
V. 인천보훈병원 중장기 특성화 프로그램 추진 방향
VI.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