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라빈드라나트 타고르의 교육철학과 산티니케탄 미술학교 연구

  • 133
131959.jpg

19세기 중반에서 20세기 중반까지 영국의 식민지 통치하에 있었던 인도에서, 라빈드라나드 타고르(Rabindranath Tagore, 1861-1941)는 1921년 벵갈 지역에 위치한 산티니케탄(Santiniketan)에 작은 미술학교를 세워 자신의 예술에 대한 지침을 교육적으로 이식시키고자 하였다. 그는 “예술이란 민족적이면서도 동시에 국제적이어야 하고 지역적이면서도 범세계적 이어야 한다(Art must be bo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local and world-wide).”라는 신념을 실현시키기를 희망하였다. 산티니케탄의 미술학교에서는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자신이 주도했던 범인도적(pan-Indian) 원시주의 조형방법으로부터 그의 후계자들에 의해 시도된 민족주의 화풍, 표현주의 화풍 등을 통해 향토적 미술화풍이 나타났다. 다른 한편, 그의 10살 아래 조카인 아바닌드라나트 타고르(Abanindranath Tagore, 1871-1951)는 일찍이 벵갈에서 동양주의에 입각한 인도주의의 정신과 이상을 찾으려는 노력을 경주하여 벵갈화파의 거두가 되었다. 식민지 지배 시대에 서양미술의 영향으로 인한 서구화의 단계를 경험했고, 그러던 중 반식민주의, 반영(反英)운동의 일환으로 등장한 문화적 민족주의 운동 안에서의 미술의 역할이 민족주의와 국제주의를 사이에 놓고 어떠한 양상을 전개시켰는지를 벵갈화파와 산티니케탄 미술학교는 극명하게 보여준다. 그러나 그 극명함 속에는 매우 복합적인 대항관계가 존재한다. 본 논문은 아바닌드라나트를 중심인물로 하는 벵골화파가 실제 자신들의 화풍과 기법을 개발함에 있어서는 일본의 일본화풍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국제주의자적 면모를 숨기지 않았다는 역사적 사실을 기술하고자 하며 반면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자신과 그의 후계자들이 국제주의를 적극 옹호하면서도 인도의 자연과 생활방식에 대한 지극한 애정과 표현을 미술형식에서 찾아감으로써 종국에는 인도적 향토주의를 어떻게 확립해 나가는 지를 그들의 교육철학과 방식 등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20세기 전반기, 벵갈 지방을 중심으로 일어났던 인도의 민족주의 미술운동의 발생배경과 사상, 주요 인물 그리고 그들의 작품을 통해 인도 근대미술의 한 단면을 고찰하고 이러한 운동이 현대의 인도미술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전후한 시기, 벵갈화파와 산티니케탄에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