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약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과 관련 변인의 영향관계 를 구명하여 어떻게 효과적인 무형식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근로자들의 학습동기, 학습전략, 대인관계 및 직무특성이 무형식학습에 직 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학습동기와 무형식학습의 관계에서 학습전략과 대인 관계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직무특성과 무형식학습의 관계에서 학습동기와 대인관계 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우리나라 중소기업 근로자 로 중소기업청에서 주관하는 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http://sminfo.smba.go.kr)에 등록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53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AMOS 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과 학습동기, 학습전략, 대인관 계 및 직무특성의 인과모형에 대한 적합도는 적합하게 나타났다. 둘째, 중소기업 근로자 의 무형식학습에 대하여 학습동기는 경로계수 β=0.814, 학습전략 경로계수 β=0.301, 대인 관계 경로계수 β=0.107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무특성은 유의 미하지 않았다. 셋째,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과 학습동기 관계에서 학습전략과 대 인관계는 간접효과를 가지며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 학습과 직무특성 관계에서 학습동기와 대인관계는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았다.
무형식학습
무형식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가설적 모형의 설정
연구방법
연구결과 및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