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노인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노인교육의 발전 방안 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그동안 우리 사회는 고령화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노 력이 부족하여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과 거부감을 해소하지 못하고 사회적 불안을 키워왔다. 이러한 가운데 노인교육에 대한 정책적 접근 역시 미흡한 실정이다. 노인교육 의 법적 근거는 노인복지법 및 평생교육법이지만, 노인교육 개념은 노인복지법에는 노 인여가복지의 범위에 들어있고 평생교육법에는 명확한 근거를 찾기 힘든 형편이다. 또 한 노인교육 담당부처가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 사이에서 전환을 거듭해 왔으며, 노인교육 수행기관으로 노인복지관, 노인교실 등이 있지만, 전문성 있는 노인교육 실행 은 미진한 편이다. 그동안 노인교육담당자 및 전문가 양성, 금빛평생교육 봉사단, 노인 교육과정 시범운영 지원, 소외계층 평생교육 프로그램 등과 같은 노인교육 관련 사업이 실행되긴 하였지만 지속성이 매우 미흡하였다. 본 연구는 현행 노인교육의 문제점을 분석 한 결과 향후 노인교육 발전을 위한 기본 방향의 4가지로 교육복지의 실현, 노인교육의 다 양성 확대, 노인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전문성 강화, 활동적 고령화를 위한 역량 강화 등 을 도출하였다. 또한 노인교육 발전을 위한 정책 방안으로 노인교육 관련 법제 정비, 노인 교육 전달체계의 명확화, 분야별 노인교육의 내실화, 노인교육 수행기관의 체계적 지원, 노 인교육 전문 인력의 양성을 제안하였다.
활동적 고령화와 노인교육의 중요성
노인교육의 개념
한국 노인교육의 현황
노인교육 발전을 위한 정책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