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이주하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성 인교육은 중도입국 청소년에게 한국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어떤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가를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 의 사례를 분석하고, 다문화 청소년을 지도하는 교육 일선의 실천가를 대상으로 면담조 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적응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사회 문제 예방, 직업역량강화, 사회적 관계망 형성, 그리고 공동체를 변화시키는 주체로서의 성장으로 나타났으며, 중도입국 청소년에게 필요한 교육내용은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 고 있는 한국어 교육, 정체성 확립교육, 심리적응 교육, 진로·직업교육이외에도 성교육, 또래집단 혹은 부모와의 소통방법 교육, 예절 교육, 사회참여 교육, 그리고 부모교육이 보강되어 다양한 내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교육 프로그램 운영방법에 대해서는 교육하고자 하는 내용과 중도입국 청소년의 준비도에 따라 통합하거나 분리하고, 체험 의 방법을 활용하거나 성찰하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상 의 결과는, 성인교육이 중도입국청소년에게 활동의 주체로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 도록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안목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함을 시사한다. 성인교육은 중도입국청소년의 직업역량 강화나 사회적 공공책임을 위한 교육, 사회적 관계망 형성, 인간관계 훈련 등을 목표로 긍정적인 자아정체성을 형성하여 사회 의 당당한 일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내용과 방법의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 다. 성인교육이 이와 같은 역할을 담당할 때 중도입국청소년이 긍정적인 정체성을 형성 하여 성숙한 시민으로서의 삶을 살면서, 국가경쟁력에 기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중도입국청소년의 사회적응 프로그램 선행연구 분석
연구방법
연구결과
면담조사 결과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