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교사 행위자성(Teacher Agency) 개념모델이 교사학습공동체 논의에 주는 도전과 함의

  • 1,942
132040.jpg

본 연구는 문헌분석 연구방법을 통하여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이 기존의 교사학습공동체 연구에 주 는 도전과 함의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연구자가 문헌분석을 통해 확인 한 교사학습공동체 연구의 특징과 한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의 개념과 특징을 검토한 후에,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이 교사학습공동체 논의에 주는 도 전과 함의를 이론적, 실천적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기존의 교사학습공동체 연구의 특성과 한계는 세 가지로 요약된다. 이는 1) 통시적 관점의 연구 결여; 2) 맥락과 분리된 교사의 능력 강조; 3) 만능으로서의 ‘문화’개선에 대한 주류 담론이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생태학적 접근 방식의 교사행 위자성 개념모델은 ‘상황적 성취’로서의 행위자성 개념을 기반으로, 교사가 과거-현재-미래의 시간 적 과정을 통해 교사의 능력과 맥락이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성취되는 어떤 것으로 교사행위자성을 개념화한다. 이러한 개념모델은 기존의 교사학습공동체 논의를 보완할 수 있는 세 가지 특징을 가 진다. 첫째, 시간을 매개로 한 유기적 설명틀을 통해 통시적 관점을 제공해준다. 둘째, 맥락과 교사 능력의 상호작용을 통해 성취되는 행위자성 개념을 통해 맥락과 교사 능력 사이의 균형잡힌 시각을 제공한다. 셋째, 문화와 구조의 분석적 차원에서의 구분을 통해서 교사가 위치한 맥락에 대한 강한 설명력을 갖는다. 이러한 세가지 특성을 기반으로 교사행위자성 개념이 교사학습공동체 이론 및 연 구, 실천에 주는 시사점을 결론에 제시하였다.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교사학습공동체 연구의 특징과 한계

Ⅳ. 교사 행위자성(Teacher Agency) 개념모델과 세 가지 특징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