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광고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성적소구 광고에서 제3자 효과가 나타나는지, 만 일 나타난다면 성적소구의 강도에 따라 제3자 효과의 크기는 어떻게 달라지는지, 제3자 효과가 성적소구 광고 규제에 대한 태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성적소구 광고에서 제3자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성 적소구 광고가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보다 일반인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라고 인식 하고 있었다. 성적소구의 강도(약, 중, 강)에 따른 제3자 효과는 세 개의 강도 모두에서 제 3자 효과가 나타났고, 성적소구 약보다 성적소구 중과 성적소구 강에서 제3자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으나, 성적소구 중과 강의 차이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성적 소구 광고에 대한 제3자 효과는 사회적 거리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 적소구에 대한 제3자 효과는 나와 가까운 사람인 가족 및 친구보다 나와 상관없는 타인인 일반인에게 더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성적소구 광고의 제3자 효과는 성적소 구 광고를 규제해야 한다는 규제인식에 궁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람들은 비록 자신은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다 하더라도 다른 사람들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인식하면, 그 문제를 제한 또는 제재하는 조치에 더욱 적극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이론적 논의 및 가설 설정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