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This exploratory case study analyzes the Volkswagen diesel crisis from a crisis communication perspective. The Volkswagen diesel case provides a unique opportunity to examine how a Fortune 500 company managed (or mismanaged) an intentional corporate misdeed, and to understand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crisis communication theories. In analyzing the case, this study adopted the theoretical frameworks from the two dominant crisis communication theories, namely Image Repair Theory and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Our findings show Volkswagen’s systemic failure of crisis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before and after the crisis erupted. The findings also suggest the scholarly need to further develop crisis communication theories in providing strategic implications for major crises such as the Volkswagen diesel case.
목차
Introduction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THE VW DIESEL CRISIS
SUMMARY OF FINDINGS
DISCUSSION
CONCLUSION
References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2)
- 도시홍보물에 대한 스토리텔링 분석기법 탐색 : 부산 초량 이바구길 홍보물을 중심으로
- 프로야구 시청경험이 시청자의 야구장 광고 인식에 미치는 영향
- Exploring Cues to Action in Health Belief Model
- 노인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서평: 브랜디드 콘텐츠
- 디지털 환경이 도시브랜드 디자인의 확장성에 미친 영향
- 새로운 광고 교육을 위한 융합교육과정 플랫폼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ected Crisis : A Case Study of Volkswagen Diesel Crisis
- 브랜드 웹툰의 구성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구전의도를 매개변인으로
-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정부PR 연구 : 정부PR 실무자와 SNS 전문가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 우수 광고 PR 사례 - 한국관광공사 지역 기반 국민 참여형 국내 관광 온라인 마케팅 : 2015년 SNS 채널 운영 사례
- 기업의 기만행위에 따른 부정적 뉴스가 소비자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기업책임성의 강약과 제품관여도 수준에 따른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