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2109.jpg
KCI등재 학술저널

노인전문간호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조사

  • 144

2003년8월보건복지부가노인전문간호사교육과정신설을 허가한 후2004년 7개의 교육기관에서노인전문간호사교육 과정을개설한것을시작으로(Lee et al., 2004), 2013년1월 현재총31개의교육기관에서272명의입학정원으로노인전 문간호사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KABONE], 2013a), 이는연 간전문간호사교육과정입학정원의33.4%를차지하는높은 비율이다. 또한, 노인전문간호사자격시험은2006년처음시 행되었으며 2012년까지 1,576명의 노인전문간호사가 배출 되었다(KABONE, 2013a). 현재 우리나라 전문간호사 교육과정은 전문간호사로서 역 할을 수행하기 위해 반드시 학습해야 할 내용을 반영하여 공 통과목(6과목)과 전공이론과목(4과목)에 대한 과목별 목표 및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KABONE, 2013b). 특히, 현재 노 인전문간호 교육과정의 경우 공통과목 이외에 이수해야 할 전 공이론과목으로노인전문간호총론,노인질환관리I ? II,노인복지간호, 노인건강증진이 있으며 공통과목을 포함하여 총 36학점과 실습시간 300시간을 이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KABONE, 2013b). 노인전문간호사 교육과정을 개설하면서부터 노인전문간호 사의역할과기능에대한분석(Lee et al., 2004)이이루어졌고, 이후노인전문간호사의직무분석(Im, 2010)등의연구가이루 어진바있으나과정이개설된후10년을바라보는시점에서교 육과정의 질 제고를 위한 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대상자의 욕구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전문적 간호를 수행하는데 있어 석사수준의 전문간호사 교육과정은 전문간 호사로서의 활동 범위와 역할 결정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Kilpatrick et al., 2013)구체적이고전문적인활동범위확립 과 역할정립을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현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학생의 입장에서 만족도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서 론 연 구 방 법 연 구 결 과 논 의 결 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