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 및 후각자극에 의한 뇌파(EEG)와 진동이미지기술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제16권 제6호
-
2015.064291 - 4297 (7 pages)
- 0

실내공간에서 인간의 쾌적감 및 불쾌적감 등의 감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뇌파(EEG)측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뇌파(EEG)측정은 접촉식으로써 실험에 제한적이다. 그러나 진동이미지기술은 웹캠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간의 감성을 측정할 수 있는 비접촉식 방법으로써 실내공간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인간의 감성을 측정할 수 있는 접촉식인 뇌파(EEG)와 비접촉식인 진동이미지기술의 상관변수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리크기 60[dB] 및 90[dB]과 로즈마리 및 쟈스민 향기에 대한 피험자의 뇌파(EEG)와 진동이미지기술의 상관 분석을 하였다. 피험자는 건강상태를 점검하여 대학생 남자 3명으로 선별하여 10회 반복 실험하였고, 실험기간은 약 한 달간 진행되었으며, 측정실의 조건은 온도 25[℃], 상대습도 50[%], 조도 1.000[lux] 및 기류속도 0.02[m/sec]로 하였다. 뇌파(EEG) 23가지 지표(절대θ, 상대θ, 절대Sα, 상대Sα, 절대α, 상대α, 절대β, 상대β, 절대γ, 상대γ, 절대Fα, 상대Fα, 절대SMR, 상대SMR, SMR/θ, SMR+Mβ/θ, 절대?β, 상대Hβ, Hβ/α, 절대Mβ, 상대Mβ, SEF50, ASEF50)와 진동이미지기술 10가지 지표(긴장/불안, 억제, 신경과민증, 밸런스, 매력, 자신감, 의심, 스트레스, 공격성, 에너지)를 상관 분석한 결과 뇌파(EEG)의 상대γ파와 진동이미지기술의 신경과민증 지표가 (±).414와 (±).424로 높은 정적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1. 서론 2. 실험방법 3. 실험결과 4. 결론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