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후기 청소년에 대한 최근의 논의를 소개하면서 그 특성을 개관하고 이들을 위한 청소년단 체의 역할강화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후기청소년의 개념을 고찰하고 한국의 후기청소년 이슈와 현안문제를 알아본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한 문헌분석을 중심으로 수행 되었다. 연구결과 후기청소년은 18~25세 사이로 규정하며||| 정체성 탐색||| 불안정성||| 자기 자신에 대한 집 중||| 중간에 낀 어중간한 정체감||| 그리고 가능성의 시기라는 특성을 갖는다. 청소년단체의 기능과 의미는 사회적||| 개인적||| 국가 등의 환경적 영역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으며||| 청소년단체의 역할은 청소년단체의 운영능력강화와 청소년운동 주체로서의 청소년단체의 특성강화 등의 두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후기 청소년을 우리나라 청소년정책의 대상으로 분명히 하기 위한 법제화가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하는 미 래지향적||| 선진국형 청소년정책을 기대해본다.
Ⅰ. 서론 Ⅱ. 후기청소년의 개념과 특성 Ⅲ. 청소년단체의 특성과 효과성 Ⅳ. 후기청소년의 정책과제와 청소년단체의 역할강화 Ⅴ. 결론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