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에서 임파워먼트는 개인, 가족, 지역사회 체계의 삶을 향상시키기 위해 행동 을 취할 수 있는 개인, 대인 및 사회정치적 관계 등 다층에서의 힘이 증가되는 과정이자 (Gutierrez, 1994, p.202) 주체적으로 향상된 삶의 질을 유지시켜 나가게 되는 성과를 지칭하 는 데 사용된다. 그 실천의 다양성은 매우 폭이 넓지만 이제는 누구든 사회복지실천에서 정치적으로 옳은 것이 임파워먼트 접근이라고 보고, 개인적 성향이야 어떻던 공식적으로는 강점관점의 사회복지실천과 함께 임파워먼트 접근을 지향하는 것 같다. 사회복지사와 클라 이언트의 이인관계를 핵으로 하는 사회복지실천의 여러 장면에서 임파워먼트는 협의로 혹 은 클라이언트 및 소속 집단의 정체성 정치를 위한 확대된 공간에서 좀 더 광의로 사용될 수 있어서 전방위적 유용성을 가지고 있다. 임파워먼트 접근은 인간과 인권중심의 사회복 지실천을 대변하는 방법으로 그리고 그러한 방법을 안내하는 모델로도 두루 사용되고 있 다. 대학의 사회복지실천론 및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례관리론, 사회복지실천세미나 등 사 회복지실천의 주요 교육에서 그리고 학술지에서 주요하게 대두되는 접근1)으로서도 임파워 먼트는 주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Ⅰ. 시작하는 말
Ⅱ. 사회복지실천의 온정주의 접근과 임파워먼트 접근
Ⅲ. 사회복지실천 역사에서 나타난 온정주의 및 임파워먼트 접근과 이분법적 사고
Ⅳ. 온정주의 접근과 임파워먼트 접근의 공존
Ⅴ. 맺음말: 사회복지실천의 온정적 접근과 임파워먼트 접근 사이 균형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