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2427.jpg
학술저널

유동적 사회에 대응하는 성찰적 사회복지실천 교육론 - 성찰일지 중심으로 -

  • 165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여러 실천전문직은 타 학문과 구분되는 고유한 지식체계를 갖추고 자 노력해 왔다. 여기에서 지식체계는 전문직이 속해 있는 사회가 특정 전문직의 권위를 인정하고, 사회적 위임을 부여하는 근거가 됨이 분명하다. 사회복지학 역시 고유한 지식체 계를 확립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 왔다. 특히 1960년 이후 활발히 진행되었던 미국의 경험적 실천운동과 1970년대 사회복지실천의 효과성 논쟁 등을 거치면서 사회복지 학은 전문성 확보를 위한 지식체계의 필요성을 절절히 체험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1980년 대 이후 사회조사를 바탕으로 한 증거기반실천(evidence-based)의 강조는 지금도 여전하며, 오 늘날까지 사회복지학의 연구방법론에서 지배적인 패러다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실천 전문직은 확고한 이론적 체계를 갖춘 상태에서 출발한 것은 아니었 으며, 사회복지실천의 주요 이론적 근거들도 인접 학문의 영향을 받아 구축하여 온 것이 대부분이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국내 사회복지실천 교육현장은 대부분 외국에서 도입된 사회복지실천 이론들을 소개하기에 급급해 왔음을 부인할 수 없다. 국내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혜성처럼 등장하였다 일시적인 부흥기를 거쳐 사라진 사회복지실천 이론들 의 예를 찾아보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이다. 특히 사회복지실천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고유한 지식체계의 부재는 사회복지실천 전문직의 정체성을 모호하게 만들어 버린다고 할 때, 한국적 상황에 맞는 독자적인 지식체계를 구축하고, 이에 기반한 실천의 성과물이 등장 하는 것은 요원한 일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Ⅰ. 문제제기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