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분노표출, 가족역기능, 음란물노출 요인과 데이트폭력 허 용성과의 영향관계를 통합적으로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데이트폭력 허용성을 정서적, 신체적, 성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보다 체계적인 차원의 데이트폭력 예방 의 실천적 함의를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15년 8월~9월 동안 300명의 대학생 을 대상으로 조사한 응답결과에 대해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분노표출, 음란 물노출은 데이트폭력 허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되었지만, 가족역기능 은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트폭력 허용성의 하위구성요 소별 세부적인 영향관계에서도 분노표출과 음란물노출은 정서적 데이트폭력, 신체적 데 이트폭력, 성적 데이트폭력 허용성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 지만, 가족역기능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분노표출과 음란물노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의 데이트폭력 예방프 로그램 개발 및 건강한 대학문화 형성을 위한 다양한 실천적 대안들을 모색하였다.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