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보건진료원 업무활동의 변화과정 : 문헌사료를 중심으로

  • 69

우리나라의 보건진료소는 1940년 전라북도 옥구군에서 일본인 지주 웅본(雄本)에 의해 최초로 개소되었다. 개소 된 보건진료소 인력으로는 의사 리영춘이 유일하였으며 지역 내의 소작인을 대상으로 방문 및 내소진료, 질병예 방, 보건교육 등의 업무활동을 하였다(동아일보, 1940년5 월23일). 이러한 업무활동은 보건진료소의 기능과 역할을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보건진료소는 해방과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간간히 유 지되어 오다가 경제와 인력수급의 문제로 폐쇄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이에 정부는 국제사회의 도움을 받아 무 의촌 보건의료문제를 우선 해결하고자 간호사, 조산사를 활용한 보건진료원을 양성하여 의료취약지역에 시범적으 로 배치하였다(김진순, 2000). 보건진료원은 1977년 마을 건강시범사업에서 최초로 업무활동을 시작하였고(간협신 보, 1977년6월23일) 1980년 ‘농어촌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 조치법(이하 ‘농특법’)’의 시행으로 법적?행정적 지위를 갖게 되었다(데일리팜, 2012년1월1일). 보건진료원의 업무활동과 관련한 연구에서 보건진료원 은 일차진료와 보건, 건강증진이 주요업무라고 하였으며 (고일선 등, 2005) 투약, 보건교육, 상담, 방문진료, 건강 검진 등의 업무활동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홍예경, 2007)고 하여 보건진료원의 업무활동의 근거인 ‘농특법’의 업무내용과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