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측정 영역에서의 수직선 활용에 관한 고찰

  • 36
132511.jpg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수직선은 주로 수와 연산 영역에서 영상적(iconic) 표상으로 활 용되고 있는데, 수직선은 구체적 조작 활동을 대체할 수 있는 도구로 수의 표시뿐 아니라 연산 과 정의 도식화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수직선은 활동적 표상을 상징적이고 추상화된 수학의 형식으로 나타내는 과정에서, ‘수와 연산’ 영역과 ‘도형’ 영역을 ‘측정’ 영역으로 이어주는 과 정에서 그 연결 고리 역할을 할 수 있다.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에서 측정 영역을 살펴보면 시간, 들이와 무게, 수의 범위 단원에서 수직선이 등장하고 있는데, 본 연구는 수직선이 제시된 이들 단원의 내용을 중심으로 5차 교육과정 이후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 에서 다루어진 수직선 관련 내용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측정 영역에서 활용된 수직선 의 용례를 미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함께 살펴봄으로써 수직선을 활용한 측정 영역 지도 방법과 그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 교육 과정의 경우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눈금이 표시된 수직선은 단순히 시각적으로 보이는 눈금을 세는 것만으로 인식되어 왔기 때문에 좀 더 깊은 이해를 이끌 수 있는 수직선의 활용 곧, 빈 수직선 또는 암산 수직선이 요구되며, 이는 수학적 개념의 시각적 표현이라는 측면에서 그리고 수와 연산, 측정 영역간 연계와 초등학교와 중학교 수학에서 학년간 연계라는 관점에서 수직선의 활용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I. 들어가면서

II. 이론적 배경

III. ‘시간’ 지도와 관련된 수직선 활용 분석

IV. ‘수의 범위’ 지도와 관련된 수직선 활용 분석

V. ‘들이와 무게’ 지도에 제시된 수직선 내용 분석

VI. 나가면서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