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인식 변화가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교과교육학연구
- 제18권 제3호
-
2014.09683 - 701 (19 pages)
- 290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대규모 학업성취도 평가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NAEA 2011)와 수학?과학성 취도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TIMSS 2011)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 변화 추이와 이러한 변화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2010년에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시행된 TIMSS 2011과 2011년에 중학교3학년을 대상으로 시행된 NAEA 2011에서 공통으로사용된정의적특성관련설문문항을중심으로두평가에 동시에 표집된 학생들의 응답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중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는부정적인 편이었고 학년이 올라가도 큰 변화가 없었으며, 최상위 수준 학생들을 제외하고는 모두 부정적인 응답 비율이 높았다. 반면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은 긍정적인 편이었지만 학년이 올라가면서 부정적인 응답이 늘어났으며, 최하위 수준을 제외하고 긍정적인 응답 비율이 높았으나 학년이 올라가면서 보통수준과 기초수준에서부정적인 응답 비율이 높은 쪽으로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이론적 배경 1.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2. 학업성취도 평가를 활용한 정의적 특성 분석 III. 연구 내용 및 방법 1. 국가수준 및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비교를 위한 자료 연계 2. 연계 자료 분석 방법 IV. 연구결과 1.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인식의 변화 2. 흥미와 가치 인식에 대한 응답의 성취수준별 분포 변화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0)
(0)